chaplin@catholic.ac.kr

연구소사람들

선임연구위원 김종진

선임연구위원 김종진


<강연요청>


강연교육은 신청서를 작성해서 메일로 보내주세요.

다운받기: http://klsi.org/bbs/board.php?bo_table=chaplincat&wr_id=152&sfl=wr_subject&stx=%EA%B0%95%EC%97%B0&sop=and



<이메일>

chaplin@catholic.ac.kr

sadae1999@hanmail.net 



<학력>  

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졸업(2000.2)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대학원 석사과정 졸업 (2003.8) 

성공회대학교 사회학과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2009.2)

 


<상 훈>

정부 유공자 포상 '국민훈장 동백장' 수상 - 제1회 청년의 날(2020.9.19)

정부 유공자 포상 ‘고용노동부 장관 표창’ 수상(2021.12.31)

전국서비스산업노동조합연맹 20주년 공로패(2021.2.23.)

청년유니온 10주년 감사패(2020.12.5)



<경 력>


1. 연구소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선임연구위원(2020.2∼현재)

한국노동사회연구소 부소장(2018.2∼2020.1)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연구실장(2009~2012)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연구부실장(2007∼2008)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연구위원(2003.9~2020.2)


2. 기관, 단체

사단법인 '유니온센터' 이사장(2019.3~2023.2)

우분투재단 운영위원회 위원(2021.3∼2023.3)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정책자문위원(2021.3∼2023.2)

서울청년정책네트워크 정책자문위원(2019.8~2020.8)

직장갑질119 지표개발 자문위원(2018.5~2019.4)

한겨레 경제사회연구원 정책위원(2017.6~2017.12)

전국감정노동네트워크 '정책팀' 정책위원(2015.3~2017.2)

서울시사회복지사협회 보수교육 인권 강사(2014.7~현재)

청년유니온 정책자문위원(2012.5~현재)

전국서비스산업노동조합연맹 정책자문위원(2010.3~2022.2)

중대재해전문가네트워크 운영·집행위원, 학술국 위원(2022.1~현재)


3. 학회, 학교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강사(2011.3~현재)

중앙대학교 노사관계론 강사(2009.8~2019.7)

한국산업노동학회 운영위원장(2018.3∼2020.2)

한국산업노동학회 운영위원(2022.3∼2024.2)

한국산업노동학회 학술이사(2015.2~2018.2)

한국산업노동학회 회원(2004.4~현재)

비판사회학회 회원(2006.2~현재)


4. 중앙정부 및 산하기관

국회입법조사처 노동환경팀 조사분석지원자문위원(2012.6~2016.5)

고용노동부 서울청 취약근로자 보호대책협의회 자문위원(2012.9~2013.9)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시민사회노동포럼위원(2012.9 ~2017.4)

국가인권위원회 사회권 전문위원(2013.8~2015.8)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규직화 중앙 추진단'(2017.7~2019.12)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 금융·서비스분과 위원(2017.11∼2018.12)

고용노동부 정책자문위원(2017.11∼2018.12)

문화체육관광부 예술복지 TF 위원(2017.11∼2018.2)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사회적대화> 편집위원(2017.12~현재)

여성가족부 제6기 가족친화인증위원회 위원(2018.9∼2020.8)

고용노동부 비정규직 개선 TF 위원(2017.11∼2018.7)

기상청 콜센터 운영방향 검토 협의회 위원(2019.9~2019.12)

대통령 직속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디지털전환과노동의미래위원회' 공익위원(2019.10~2020.10)

고용노동부 콜센터 정규직 전환 노사전협의체 위원(2020.3~2020.12)

정부 국민콜110 상담업무 직접수행 전환 노사전협의체 위원(2020.4~2020.12)

고용노동부 비정규직 고용구조개선 지원단 新고용형태 분과 위원(2020.4~2020.7)

국무조정실 청년정책조정위원회 위촉직 추천위원회 위원(2020.5-2020.7)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 '3기 공공일자리 전문위원회' 위원(2020.6-2021.5)

법무부 제2기 인권정책자문단 자문위원(2021.1- 2022.12)

여성가족부 제11기 정책자문위원(2021.1-2020.12)

총리실·국무조정실 제1기 청년정책조정위원회 실무위 부위원장(2021.3∼2023.2)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 '제4기 공공일자리 전문위원회' 위원(2021.6~2022.5)

대통령 직속 경제사회노동위원회 '플랫폼산업위원회' 공익위원/간사(2021.6~2022.6)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 '유통산업TF’ 위원(2021.7~2021.12)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미래대응위원회 위원(2019.10~2021.10)

한국여성인권진흥원 ‘성희롱·성폭력 및 직장 내 괴롭힘’ 심의위원(2020.11〜2021.1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고용능력평가연구 자문위원(2015.4~2015.12)

한국관광공사 기간제 정규직 전환협의회 위원(2017.9~2017.11)

국립암센터 정규직 전환 노사전협의체 위원(2018.9~2019.6)


5. 지방정부 및 산하기관

서울시 아르바이트 청년 권리보호협의회 위원장(2013.9~2017.8)

서울시 민선6기 희망서울 정책자문위원(2014.7~2014.12)

서울시 생활임금위원회 부위원장(2015.2~2019.1)

서울시 노동자권익보호위원회 부위원장(2015.4~2019.3)

안산시 노동정책자문단 자문위원(2015.8~2016.4)

서울시 일자리위원회 실무위원(2015.8~2016.4)

서울시 시정평가자문단 자문위원(2016.4.1~2020.3.31)

서울시 구의역 사고 진상규명위원회 위원(2016.5.8~2016.7.28)

서울시 감정노동 종사자 권리보호위원회 부위원장(2016.7~2020.6)

서울교육청 생활임금위원회 위원(2016.8~2018.8)

용인시노사민정협의회 노사민정포럼 전문위원(2017.1.1~2017.12.31)

광주시 청년정책 TF 위원(2017.2∼2018.2)

부천시노사민정협의회 노동인권추진위원회 위원(2017.6~2017.12)

시흥시 정책기획단 위원(2017.6~2018.6)

서울시 기간제 정규직 전환협의회 위원(2017.10~2017.11)

서울시 민선 7기 '더 깊은 변화 위원회' 위원(2018.7∼2018.12)

서울시 투자출연기관 혁신자문단(2018.8 ∼2018.12)

서울시 산업노동안전보건자문위원회 위원(2020.12~2022.11)

충남 양극화 대책 자문위원회 자문위원(2019.4~2020.3)

서울시 성별임금격차개선위원회 위원(2019.10~2021.8)

서울시 2019 플랫폼노동 공론화, 의제선정위원회 위원(2019.8~2019.11)

서울시 2040플랜 수립 추진위원회 위원(2019.10~2020.9)

경기도 공정경제위원회 위원(2019.11~2021.10)

서울지역 공공도서관 사서직 권익개선 TF 위원장(2020.1~2020.6)

서울시 '청년 불평등 완화 범사회적대화기구' 운영단장(2020.1~2022.1)

서울형 유급병가지원 자문위원(2020.6~2024.5)

경기도 청년비전수립 공론화위원회 위원(2020.12∼2021.4)

경기도 노동정책자문위원회 자문위원(2021.3∼2023.2)

수원시 비정규직노동자복지센터 정책연구지원단(2016.8.24~2018.8.23)

서울시 청년활동지원센터 운영위원장(2016.11.3.~2018.12.31.)

서울시 청년허브 인사위원회 인사위원(2017.2~2017.12)

서울연구원 기간제 정규직 전환협의회 위원(2018.9~2018.10)

서울시 감정노동센터 운영위원(2018.9∼2023.5)

서울시 감정노동센터 감정노동 권리교육 강사단(2019.2~2024.2)

서울관광재단 비정규직,특수고용 여행바우처 지원사업 운영위원장(2019.3~2021.3)

서울의료원 간호사 사망사건 진상대책위원회 부위원장/대변인(2019.3~2019.6)

서울시 사회서비스원 운영위원(2019.7~2020.7)

tbs교통방송 정규직 전환채용 위원(2019.8~2019.10)

서울연구원 인권경영위원회 위원(2019.12-2021.12)

서울연구원 연구자문위원회 자문위원(2020.4~2022.3)

서울시 어르신돌봄종합지원센터 운영위원(2020.5-2021.4)

서울시 서북권직장맘지원센터 운영위원회 운영위원(2021.1∼2022.12)

서울시 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 운영위원회 운영위원(2021.1∼2022.12)

서울시 생활체육지도자 정규직 전환 TF 부위원장(2021.2~2021.6)

서울시 장애인체육지도자 정규직 전환 심의위원회 위원장(2021.8~2022.6)



<저서>


1. 단독

김종진(2022), 『노동자의 시간은 저절로 흐르지 않는다 : 조각난 일터와 불평등한 노동』, 롤러코스터.

김종진(2016), 『함께걷는노동: 노동이 존중받는 사회』, 서울연구원.


2. 공저

김종진 외(2022), 『숨을 참다: 코로나 시대 우리 일』, 후마니타스.

김종진 외(2021), 『2022 한국의 논점』, 북바이북.

김종진 외(2017), 『감정노동의 시대, 누구를 위한 감정인가?』, 한울.

김종진 외(2013), 『사장님도 아니야, 노동자도 아니야』, 창작과비평사.

김종진 외(2008), 『양극화 시대의 일하는 사람들:환경미화원에서 변리사까지』, 창작과비평사.

 

 

<주요 논문 및 보고서>

 

Jongjin, Kim(2003), The Myth and Reality of Deregulation in Korea, ICFTU-APRO.

김종진 (2004), 『조흥은행 6.12 총파업 평가서』,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조흥은행지부.

김종진 (2004), 『금융노조 조직진단 및 발전방향』,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김종진 (2004), 『자활현장 상황진단과 자활사업 발전방향 연구』, 한국자활후견기관협의회. 한국자활후견기관노동조합.

김종진 (2004), 『노동조합의 정치세력화 사업에 관한 연구』, 한국노총 중앙연구원.

김종진 (2005), 『한미은행 6.25 총파업 평가서』,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한미은행지부.

김종진 (2005), "유통서비스부문 비정규직 노동자 상태와 조직화 문제", 『21세기 한국 사회의 전환과 발전 우리는 어디로 나아가야 하는가』, 제8회 비판사회학대회, 한국산업사회학회.

김종진 (2005),『산재의료관리원 인사 및 직급제도 개선방안 연구』, 산재의료관리원노동조합.

김종진 (2005),『5인 미만 사업장 근로조건 실태조사』, 노동부.

김종진 (2005),『벽산건설 노동조합 정책개발을 위한 조합원 및 비정규직 조사 보고서』, 벽산건설 노동조합

김종진 (2005),『서울지역 노사정 협력모델 발전방향』, 한국노총 정책연구원

김종진 (2006),『비정규노동자 조직화 방안 연구』, 민주노총

김종진 (2006),『보육, 사회복지, 자활 노동자들의 노동환경 실태조사』, 민주노총 공공연맹

김종진 (2006), 『수협중앙회 조합원 의식조사 및 노동조합 발전방향 연구』, 수협중앙회노동조합

김종진 (2006), "사회복지부문 노동자들의 의식과 상태 그리고 조직화 문제", 『1997년 경제위기 이후 10년, 한국사회의 변화』, 제9회 비판사회학대회, 한국산업사회학회

김종진 (2006), 『국립공원관리공단 종사자들의 노동환경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연구』, 국립공원관리공단노동조합

김종진 (2006), 『서울지역의 산업구조와 미조직 비정규직 조직화 문제』, 민주노동당 서울시당 노동위원회

김종진 (2006), 『은행합병 이후 노사관계 발전방안』,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김종진 (2006),『화이트칼라 노동자의 고용 및 노동조합 의식 실태연구』, 한국노총 중앙연구원

김종진 (2007), 『특수고용직 노동자 조직화 방안 연구』, 민주노총

김종진 (2007), "미조직 화이트칼라 노동자들의 노동조합에 대한 태도", 『민주화 20년과 포스트 87년 체제의 전망』, 제10회 비판사회학대회, 한국비판사회학회

김종진 (2007), "유통산업 노동시장 구조와 자본의 비정규직화 전략에 대한 노조의 대응", 『비정규직 대응 정규직 노조의 역할과 과제』, 민주노총

김종진 (2007), 『IMF 10년 백서 - 금융산업의 변화와 노동조합의 과제』,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김종진 (2007), 『보건복지부 바우처 사업 무엇이 문제인가? 자활실무자들의 의견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공공노조 자활지부

김종진 (2007), 『노동운동의 재활성화 전략』, 한국노동사회연구소, 프리드리히 에버트재단

김종진 (2007), 『진로기업의 인수합병 이후 조직문화와 노사관계 개선을 위한 연구』, 진로노동조합

김종진 (2007), 『유통업 여성 비정규직 차별 및 노동권 침해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김종진 (2007),『산별노조 시대, 고용·임금·복지의 연대전략』, 민주노총.

김종진 (2007),『비정규직법 후속 대책』, 국회 입법조사처.

김종진 (2008), “유통산업 비정규직 문제와 조직화 전략의 조건과 과제”,『비정규직 노동자 조직화』,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8 국내 학술대회.

김종진 (2008), “유통업 간접고용 노동자 사례 분석”, 『간접고용 노동자 실태와 법제도 개선 방안 연구』, 민주노총.

김종진 (2008), 『강원랜드 서비스(감정)노동 실태조사 및 노동조합의 대응방안 연구』,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강원랜드노동조합.

김종진 (2008), 『사회복지서비스 현황과 노동조합의 과제』, 민주노총 공공노조 사회연대본부.

김종진 (2008), 『양극화 시대의 일하는 사람들:환경미화원에서 변리사까지』, 희망제작소 프로젝트, 우리시대 희망찾기 05, 창작과비평.

김종진 (2009), 『유통 및 서비스산업 고용 및 노사관계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김종진 (2009), 『민주노총 미조직·비정규 전략조직화 사업 평가』, 민주노총.

김종진 (2009), 『민주노총 미조직·비정규 조직화 사례집』, 민주노총.

김종진 (2009), 「이랜드 홈에버 및 뉴코아 노동분쟁 사례」, 『노동분쟁 해결시스템 개선 방안 모색을 위한 비정규직 노동분쟁 사례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김종진 (2009), 「강원랜드 노동과정 변화와 교대제」, 『강원랜드 감정노동문제 해결 예방사업』, 원진재단부설 녹색병원 노동환경건강연구소.

김종진 (2009), 『이명박 정부의 청년실업 정책 문제점과 과제: 대졸 행정인턴사원제도를 중심으로』, 민주노동당 홍희덕의원실.

김종진 (2009), 『사회적 기업 종사자 노동실태 연구』, 함께일하는재단.

김종진 (2010), 『비정규 노동운동의 조직화 전략과 과제: 전략, 과정, 파업투쟁』,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2010), 『특수고용 노동자 산재보험 적용 실태조사: 4개 직군(레미콘 기사, 골프장 경기보조원, 학습지 교사, 보험 설계사) 사례』, 민주노총.

김종진(2010),「유통업 원하도급 실태와 불공정거래 개선방향 」, 『원하도급업체간 임금격차 실태와 불공정거래 개선방안』,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김종진 외(2010), 「(주)진로 조직문화 진단」, 『하이트맥주(주)·진로(주) 조직문화 진단』, 하이트맥주(주)·(주)진로 인사팀

김종진 외(2011), 『간접고용 활용실태 및 간접고용 근로실태 조사분석』, 국회입법조사처.

김종진 (2011), "서비스산업 외주화와 노동조합의 대응 : 보건의료노조 병원 사업장을 중심으로", 『자동차산업의 환경 변화와 노사관계』, 2011년 산업노동학회 하반기 학술대회, 한국산업노동학회.

김종진(2011), 『서비스노동자는 어떻게 일하는가 : 서비스산업 고용관계와 노동과정1』, 한국노동사회연구소․프리드리히 에버트 재단.

김종진 외(2012), 『복수노조 도입 이후 노사관계 변화 연구』, 민주노총.

김종진 외(2012), 『민주노총 미조직 비정규 전략조직화 사업 진단과 과제』, 민주노총.

김종진(2012), 「서울시 공공부문 간접고용 실태와 정규직 전환 방향」, 『서울시 ‘좋은 일자리’만들기 기본방안 연구』, 서울시.

김종진(2012), 「유통업 장시간 노동과 교대제」, 『교대제와 노동시간』, 한국노동연구원.

김종진(2012), 「감정노동 문제의 대응과 규제양식」, 『서비스산업 감정노동연구』, 한국노동연구원.

김종진 외(2012), 『보건의료산업 초기업 노사관계 발전모델 연구』, 보건의료노조.

김종진 외(2012), 『서비스산업 장시간 노동 및 외주화 대응방안 연구』, 서비스연맹.

김종진 외(2012), 『한국 산별노조 문제 진단과 발전방향』, 프리드리히 에버트재단.

김종진 외(2013), 『경희의료원 조직문화와 노사관계 개선방안 연구』, 보건의료노조 경희의료원지부.

김종진 외(2013),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간접고용 비정규직 고용구조 개선』,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김종진 외(2013), 『사회복지사 인권상황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김종진 외(2013), 『사장님도 아니야, 노동자도 아니야 : 특수고용자 노동자 이야기』, 창작과비평사.

김종진 외(2013), 『서비스산업의 감정노동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김종진(2013), 『서울지역 아르바이트 청년 노동실태 – 최저임금 실태를 중심으로』,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2013), 『홈플러스 노동환경 실태조사 보고서』, 홈플러스노동조합. 

김종진(2013), 「서비스산업 감정노동 대응과 규제방안」, 《노동리뷰》, 제9월호, 한국노동연구원, 42-54쪽.

김종진(2013), 『서울시 102 다산콜센터 고용성격과 감정노동 문제 어떻게 볼 것인가?』, 희망연대노동조합 다산콜센터 지부.

김종진(2013), 『안양지역 유통업 여성 노동환경 실태조사 보고서』, 안양나눔여성회.

김종진(2013), 『서울지역 퀵서비스 노동환경 실태조사 보고서』, 구로, 성동 노동복지센터.

김종진 외(2013) 「서울지역 병원 간접고용 노동자 상황과 실태」, 『서울지역 비정규직 근로조건 및 생활실태 조사』, 서울시 노동정책과․민주노총 서울본부.

김종진(2013), 「노동운동 위기극복의 재활성화 전략 한계와 가능성 검토 - 민주노총 미조직 비정규 전략조직화 사업을 중심으로」, 2013년 한국산업노동학회 추계학술대회.

김종진 외(2014), 「사회서비스 노동과정과 숙련: 사회복지사, 보육교사, 간병요양사」, 『사회서비스 부문 숙련공간의 탐색』, 한국노동연구원.

김종진(2014),『서울시 공공병원 의료공공성 인식 및 근로조건 실태조사』, 서울시 한명희 의원.

김종진(2014), 「사회적으로 확산되는 서비스산업 간접고용 실태와 개선과제 – 서울지역 대학, 병원, 학교, 구청, 아파트 사례」,  《KLSI 이슈페이퍼》. 2014-2,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2014), 『서울시 노동정책 평가와 과제』, 민주노총 서울본부.

김종진(2014), 「지방자치단체 비정규직 실태와 개선과제」, 《KLSI 이슈페이퍼》. 2014-13,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 외(2014), 『서울시 노동정책 기본방향과 정책과제』, 서울시 노동정책과.

김종진(2014), 『2014년 홈플러스테스코 및 홈플러스 노동조합 조합원 실태조사 보고서』, 서비스연맹.

김종진(2014), 「대기업 서비스산업 간접고용 비정규직 실태 – 은행, 유통, 호텔, 병원 고용공시제 분석 사례」,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2014), 「공공기관 국립대학병원 비정규직 실태와 개선방향」,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2014), 「서울시 인권 및 노동인권의 제도화 상황과 개선과제」,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2014), 『2014 서울지역 아르바이트 노동실태1 – 서울시 및 25개 자치구 시급』, 서울시 일자리정책과.

김종진(2014), 「청년유니온과 알바노조 조합원 의식과 상태 – 설문조사 결과 분석」, 제112차 노동포럼(2014년 9월),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 외(2014), 『민주노총 조직현황 및 조직화 실태 – 36개 가맹산하조직 현황』, 민주노총.

김종진 외(2014), 『서울시 120다산콜센터 고용구조 및 노동환경 개선방향 연구』, 서울시 시민소통기획관.

김종진 외(2014), 『정보통신노동조합 민주유플러스 조직현황 및 조직진단 연구』, 공공운수노조연맹.정보통신노동조합.

김종진 외(2014), 『서비스산업 여성 노동자의 일과 삶의 균형(WLB)을 위한 노동시간 재구조화 방향 모색』, 서비스연맹.

김종진 외(2014), 『보건의료산업 비정규직 실태와 조직화 방안 연구』, 보건의료노조.

김종진(2014), 『한국 사회 감정노동 실태와 개선방향』,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김종진(2015). 『2014 서울시 아르바이트 실태 : 홍대·신촌지역을 중심으로』, 서울시 청년정책담당관.

김종진(2015),「생활임금 논의의 사회적 의미와 시사점:어떤 임금이 필요한가의 물음」, 《노동리뷰》, 제2월호, 통권 119호, 한국노동연구원, 5-15쪽.

김종진(2015), 『2014 서울지역 아르바이트 노동실태2 – 서울시 및 25개 자치구 시급』, 서울시 청년정책담당관.

김종진(2015), 「항공사 승무원 감정노동, 무엇이 문제인가? 객실 승무원 조직운영 및 인사관리제도를 중심으로」, 『항공 승무원 인권을 말하다』, 국회 김상희, 이인영 의원실.

김종진 외(2015), 『광주광역시 공공부문 비정규직 고용 및 처우개선 세부실행방안 연구』, 광주광역시.

김종진 외(2015), 『마포구 관광산업 종사자 고용창출력 강화 방안 연구사업』, 고용노동부·서울시 마포구.

김종진(2015), 『서비스 노동자 일과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정책연구』, 서비스연맹.

김종진 외 (2015), 『서비스산업의 원하청 관계와 노사관계』, 한국노동연구원.

김종진 외(2015), 『유통업 서비스 판매 종사자 건강권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김종진(2015), 「한국 노동시장 구조변화와 비정규직 개선과제」, 『정부정책이 양산한 비정규직 노동실태와 개선과제』, 한국노총, pp.1-40쪽.

김종진(2015). 「감정노동 문제 제도화 논의 의미와 시사점 : 감정노동 실태와 개선방향 」, <감정노동 종사자의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입법 공청회 자료집>, 국회 황주홍 의원실, pp.19-61쪽.

김종진(2015). 「공공부문 시간선택제 일자리 실태와 개선과제 - 고용노동부 시간제선택제 상담사 사례」, 『공공부문 비정규직 문제와 개선방향』, 공공노련, 국회 이인영, 추미애 의원실.

김종진(2015). 「서울시 노동정책 성과와 과제」, 『서울시정 평가포럼 - 박원순 시정 1년을 평가한다: 노동의제, 거버넌스』, 민주노총 서울지역본부, 시민사회씽크탱크

김종진(2015). 「지방정부 노동정책 방향과 과제」, 『충청남도 노동정책 마련 토론회 자료집』, 충남고용네트워크.

김종진(2015), 『2015 서울지역 아르바이트 노동실태1 – 서울시 및 25개 자치구 시급』, 서울시 청년정책관.

김종진(2015), 「공공부문 비정규직 문제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공공기관 비정규직 실태와 전환 쟁점을 중심으로」, 『공공기관 비정규직 문제 해법을 모색한다 - 정규직 정원 증원을 중심으로 한 전환계획』, 국회 윤호중, 우원식 의원실, 공공운수노조.

김종진(2015), 「서울시 공공부문 감정노동 실태와 개선방안」, 『서울시 공공부문 감정노동 어떻게 할 것인가?』, 서울특별시 공공부문 감정노동종사자 보호를 위한 공청회, 서울시의회, 감정노동네트워크, 서울연구원.

김종진(2015), 「서울의 시간은 누구편인가? 괜찮은 노동시간 만들기 프로젝트」, 『서울시민의 시간과 삶의 질』, 2015년 서울시 제3회 정책박람회, 서울함께포럼, 서울연구원.

김종진(2015), 「노동시장 구조변화와 비정규직 확산의 규제방안 모색: 산업, 업종, 직종별 간접고용 확산 실태를 중심으로」, 『재벌에게 사용자 책임을, 간접고용 실태와 대안 토론회』, 은수미, 심상정 의원실, 민주노총

김종진(2015), 「지자체 비정규직 실태와 개선방향」, 『지자체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제도적 문제점과 대안』, 이인영, 진선미 의원실, 전국공공운수노조.

김종진(2015), 「감정노동 사회적 논의와 대응 그리고 제도화 문제」, 『감정노동과 노동사회』,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2015년 하반기 심포지엄.

김종진(2015), 『서울시 지하철 임대매장 아르바이트 실태조사』, 서울시 청년정책담당관.

김종진(2015), 『서울지역 배달 아르바이트 실태조사』, 서울시 청년정책담당관.

김종진(2015), 「서울모델협의회 거버넌스 참여대상 확대 방향」, 『서울시 노사정모델협의회의 발전방안 연구』, 서울특별시 노사정 모델협의회.

김종진(2016), 『서울지역 저임금 서비스 판매직 노동실태』,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2016),「지자체 비정규직 및 무기계약직 노사관계 실태와 함의」, 《노동리뷰》, 제2월호, 통권 131호, 한국노동연구원

김종진(2016) 『서울형 노동시간 단축 모델 연구』, 서울연구원.

김종진(2016), 『서울형 노동시간 단축모델 개발 및 시범적용 연구』, 서울시.

김종진(2016), 『성남지역 노동권 보호와 권리 확대 정책연구』, 성남시.

김종진(2016), 『아산시 중장기 노동정책 기본계획 및 생활임금 실행방안 연구』, 아산시.

김종진(2016), 「보건의료산업 비정규직 이해대변기구와 노사관계」, 『비정규직 이해대변기제와 노사관계: 이해와 제도 』, 한국노동연구원.

김종진(2016), 「서울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 노동실태와 개선방향 : 지자체 민간위탁 고용구조, 노동조건, 산업안전, 감정노동을 중심으로」, 『서울시 정신건강증진사업의 질 제고와 공공성 확충 및 종사자 노동조건 개선방안』, 서울시의회, 더민주당 민생실천위원회, 보건의료노조.

김종진 외(2016),『고객 응대 업무 지침 개발』,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김종진(2016), 『2016 서울지역 아르바이트 노동실태1 – 서울시 및 25개 자치구 일자리와 시급 현황(1/4분기)』,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2016), 「지역노동시장 고용정책과 일자리 창출 제도화 방안모색 : 서울 은평지역 ‘주민우선고용제’ 를 중심으로」, ‘주민우선고용제를 통한 은평 일자리 창출’ 정책간담회 개최, 더민주당 강병원 의원실, 서울 은평구청.

김종진(2016), 「지방정부의 청년수당과 청년배당 도입 의미와 시사점 : 이행기 청년노동시장의 제도적, 정책적 접근 모색 논의」, 『청년활동지원(청년수당)으로 본 청년 구직지원 및 구직안전망』, 더민주당 청년위원회.

김종진(2016), 『2016 서울지역 아르바이트 노동실태2 – 서울시 및 25개 자치구 일자리와 시급 현황(2/4분기)』,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2016), 「청년고용정책과 구직지원제도 논의의 사회적 의미 : 청년구직촉진지원금과 청년활동지원사업 검토」, 『청년수당 논란 어떻게 볼 것인가?』, 국민의당 청년위원회.

김종진(2016), 『국회 청소용역 직영화 전환 실행방안 연구』, 국회사무처.

김종진(2016), 「국내 지자체 노동정책 현황과 과제」, 《노동사회》, 제190호,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2016), 「외국 지자체 노동정책 사례와 함의」, 《노동사회》, 제191호,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2016), 『2016 서울지역 아르바이트 노동실태3 – 서울시 및 25개 자치구 일자리와 시급 현황(3/4분기)』,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2016), 「병원 사업장 모성보호 매뉴얼」, 『고용평등 및 일․가정 양립 진단지표 개발과 여성인력 활용방안 연구』, 노사발전재단.

김종진(2016), 『함께걷는노동: 노동이 존중받는 사회』, 서울연구원.

김종진(2016), 「호텔산업 고용구조 재편과 복수노조 시기 노사관계 함의」, 『화려한 호텔 뒤안길 고단한 노동을 보다』, 세종호텔 50주년 토론회, 한국비정규노동센터․비정규직없는세상만들기네트워크․정의당이정미의원실.

김종진(2016), 「지자체 청소 노동자 고용실태와 개선방향 검토: 서울, 광주, 인천 vs. 경기, 부산, 대전, 세종」『경비․청소 노동자 고용불안 어떻게 해결 할 것인가?』, 서울시 근로자권익보호위원회·서울시노동정책과

김종진(2016), 「노동자건강권으로 본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의 필요성」, 『유통서비스노동자 노동실태와 법제도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증언대회』, 김종훈 국회의원, 전국서비스산업노동조합연맹, 전국유통상인연합회, 을살리기국민운동본부

김종진 외(2016), 『도시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서울연구원.

김종진 외(2017), 『감정노동의 시대, 누구를 위한 감정인가?』, 한울.

김종진(2017), 「노동정책의 새로운 도전, 도시의 노동행정 : 서울시」, 일본 동경 및 류코쿠대학 초청 세미나 발표자료(국문).

Jongjin Kim (2017),「A new challenge in labor policy: Seoul’s municipal labor administration」(영문).

キム・ジョンジン(2017), 「労働政策の新たな挑戦、都市の労働行政:ソウル市」(일문)

김종진 외(2017), 『해외 사례분석 통한 청년정책 연구 : 서울형 청년보장제도 개선방향 해법 모색』, 서울시 청년정책담당관.

김종진 외(2017), 『용인시 노동정책 기본계획 수립 연구』, 용인시노사민정협의회.

김종진 외(2017), 『광주청년 계층별 실태조사 연구』, 광주광역시 청년정책과.

김종진 외(2017), 『안산시 노동정책 기본계획 수립 연구』, 안산시 일자리정책과.

김종진 외(2017), 「공공기관 청년고용할당 실태와 일자리 창출 분석」,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 외(2017), 「공공부문 노사협의회 운영실태 분석 : 광역지자체 산하 공공기관 노사협의회 운영실태」,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2017), 「산업4.0 시대, 서비스산업 디지털화와 노동의 미래」, 『노동4.0과 4차 산업혁명』, 한국노동연구원&프리드리 에버트재단(국문)

Jongjin Kim(2017) Presentation 4. Trade Unions Response to Changes in Work Organization and Work Process in the Service Sector: The Korean Perspective, Work 4.0 and Industry 4.0, KLI-FES International Conference(영문)

김종진(2017), 「사회서비스 전문직 인권보호를 위한 국제적 논의와 공공 정책적 실천의 시사점 : 핵심 노동기본권과 인권의 관점」, 『근로자로서 상담자 : 현실과 대안』, 한국상담심리학회 2017년 상반기 학술 심포지엄.

김종진(2017), 「공공부문 청소 노동의 고용의 질 개선과제와 해법 모색 : 내부화와 외부화 운영 모델 비교 검토」, 2017년 한국산업노동학회 춘계학술대회.

김종진 외(2017), 「광주광역시 생활임금 적용확대 및 운영모델 연구」,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2017), 「보건의료산업 좋은 일자리 만들기와 노동시간 단축 모색」, 보건의료산업의 고용창출 및 유지관리 방안 연구』,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김종진 외(2017), 「서울지역 고용전략」, 『지역고용전략 수립 연구』, 고용노동부 노동시장정책관.

김종진(2017), 「노동시장 구조개선 어떻게 할 것인가? 비정규직 차별 실태와 개선방향 해법 모색」, 『차별 없는 노동시장 어떻게 만들 것인가』, 국회 환경노동위 서형수 의원실. 1-35쪽.

김종진(2017), 「지방정부의 청년정책과 청년보장제 도입 모색 : 안산시 청년정책과 청년수당 검토 필요성」, 『안산시 청년포럼』, 안산시 일자리정책과.

김종진(2017), 「공공부문 비정규직 실태와 정규직화 전환 해법 모색」, 『공공부문 좋은 일자리 만들기 ‘과제와 쟁점’』, 민주당 을지로위원회.

김종진(2017), 「서울노사정모델협의회 참여구조 개편방향 필요성과 의미 : 서울시 공공기관 자회사 노사관계 거버넌스 제도화 검토」, 『서울시 투자출연기관 자회사 서울시 투자기관 자회사 문제와 서울시 노사정모델협의회의 역할』, 서울시민생실천위원회.

김종진(2017), 「지역정신건강복지사업 비정규직 정규직화 방향 해법 모색 : 비정규직의 고용의 질 개선 및 일자리 창출 검토」, 『지역정신건강복지사업 일자리 창출 및 비정규직 정규직화 방안』, 국회 보건복지위 양승조, 정춘숙, 윤소하 의원실.

Jong-jin, Kim(2017), 『Seoul Labor Policy : Restoring Labor to Its Proper Place in Society』, The Seoul Institute.

김종진(2017), 「이동노동자 권리보호와 노동의 사각지대 해소방안 검토」, 『플렛폼노동의 등장과 디지털특고의 출연』, 2017 한국비정규노동박람회 이동노동자정책컨퍼런스, 서울노동권익센터.

김종진(2017), 「기간제 노동자 제한 예외 사유의 합리성 검토 : 비정규직 차별 실태와 개선방향 해법 모색」, 『기간제법 시행 10년 평가 및 개선방안 모색 토론회』, 국가인권위원회.

김종진(2017), 「프랜차이즈 고용구조와 불법파견 해법 모색 : 제빵제과기사 및 스태프 고용 및 노동과정을 중심으로」, 『파리바게트 제빵기사 직접고용을 위한 긴급 토론회』, 정의당.

김종진(2017), 「보건의료산업 ‘좋은 일자리’ 정책실현 방안 연구」,『보건의료산업 고용창출 유지방안관리 연구』, 보건의료노조·노사발전재단.

김종진(2017), 「사용자 없는 고용, 플랫폼 노동의 위험성」, 제59회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 학술대회 특별세션 발표 자료.

김종진(2017), 「KTO 비정규직 전환 프로세스 수립 연구」, 한국관광공사.

김종진(2017), 『코트라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 인사, 직제, 임금』, 코트라.

김종진(2017), 「국제기구, 유럽연합의 청년보장제도 시사점」, 『청년니트 200만시대, 무엇을 바꾸어야 하는가』, 국회 강병원, 서형수, 박주민 의원실,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

김종진(2017), 『서비스 노동자 노동기본권에 대한 노원주민 인식 실태조사』, 노원노동복지센터.

김종진(2017), 『서울시 공공부문 감정노동 실태와 개선방안 모델 연구 : 세종문화회관, 서울시설공단』, 서울시노동권익센터.

김종진(2017), 『서울지역 편의점-가맹점주 노동환경 관련 해외사례조사 』, 서울시 공정경제과.

김종진(2018), 『서울시 tbs 프리랜서 비정규직 고용구조 개선 세부 실행방안 연구』, 서울시 tbs 교통방송.

김종진(2018), 「평등의 과정, 차별과 격차 해소의 실현」, 『노동존중사회: 21세기 한국의 노동과 사회발전』,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한국사회학회.

김종진 외(2018), 『동일노동 동일임금 연구』,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 외(2018) 『서비스노동자 삶의 질 실태조사』, 서비스연맹.

김종진 외(2018) 『금융노조 조합원 실태조사』, 금융노조.

김종진 외(2018), 『공공고용공단 양질의 일자리 창출 방안 연구』, 한국노총 중앙연구원.

김종진 외(2018), 『기간제 운영실태 및 생명안전 업무 실태조사』, 고용노동부.

김종진 외(2018), 『서대문구 일자리노동정책 수립 연구』, 서울시 서대문구청.

김종진 외(2018), 『산업 4.0 시대 노동의 미래 - 디지털 플랫폼 노동의 노동조합 대응과제』, 프리드리히 에버트재단(FES).

김종진 외(2018), 「디지털 플랫폼 시대 노동의 미래」, 『경제 산업 환경 변화에 대응한 새로운 노동 패러다임 확립에 관한 연구』, 고용노동부.

김종진 외(2018), 「파리바게트 정규직 전환 사례」,『민간부문의 정규직 전환 사례 분석을 통한 좋은 일자리 창출 모델 발굴』, 한국노동연구원.

김종진 외(2018), 『파리바게트 조합원 노동환경 실태조사 연구』, 화학식품섬유노조.

김종진 외(2018), 「유통업 노사관계 실태와 평가」,『노사관계 실태분석 및 평가』, 고용노동부.

김종진 외(2018), 「서울시 청년활동지원사업 평가와 중앙정부-지자체 협력 방안 」,『청년고용촉진수당 개편방향』, 고용노동부.

김종진 외(2018), 『광주 청년보장제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일자립드림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김종진(2018), 『서울지역 아파트 경비 노동실태』, 서울시 노동정책과.

김종진(2018), 「프리랜서라는 모호한 고용, 사회적 기본권 실현의 필요성」, 『경기도 청년 프리랜서 지원 조례안 제정을 위한 토론회 자료집』, 경기도의회·경기도 청년유니온.

김종진(2018), 『문재인 정부 공공부문 비정규직 평가와 과제』, 을지로위원회.

김종진(2018), 『서울시 생활임금 적용 대상 노동자 실태조사』, 서울시 노동정책과.

김종진(2018), 『서울시 청소노동환경 시설 가이드드라인 연구』, 서울시 노동정책과.

김종진 외(2018), 『KBS 비정규직 고용구조 개선 및 처우개선 연구』, 한국방송공사(KBS). 

김종진(2018), 「유럽연합 유통업 정기휴점제 실태와 한국의 정책과제 검토」, 『대형유통매장 정기휴점제도 입법화 모색을 위한 토론회』, 을지로위원회.

김종진(2018), 「노동의 미래와 유니언시티 - 한국 지방정부의 ‘유니언시티’ 모델 과제」, 『일의 불평등과 유니언시티』, 2018 좋은 일자리 도시 국제포럼(2018.12.12.), 서울시 일자리정책과&국제노동기구(ILO).

김종진(2018), 「지역 청년센터 프로그램 사례 분석 및 시사점」, 『청년센터 포럼』, 한국고용정보원 청년정책허브지원단.

김종진 외(2018), 「120다산콜재단 감정노동 실태조사」, 서울시 기관별 감정노동 보호제도 컨설팅 사업보고서』, 서울시 감정노동센터.

김종진 외(2019), 『제주도 노동정책 기본계획 수립 연구』, 제주도청.

김종진 외(2019), 『서울시 플랫폼노동 실태와 정책과제 연구』, 서울연구원·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 외(2019), 『IT·게임산업 노동실태 및 노사관계 연구』, 화섬노조.

김종진 외(2019), 『소득보장과 사회보험 패러다임 전환을 통한 청년 사회안전망 강화 방안 연구』,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김종진 외(2019), 『성남시 청년문제 및 청년정책 연구』, 성남시 청년정책팀.

김종진 외(2019), 『우체국 여성 노동자의 건강권 침해 및 노동환경 개선방안 연구』, 공공노총 전국우체국노조.

김종진 외(2019), 『서울지역 공공도서관 위탁 및 노동실태 연구』, 서울도서관.

김종진 외(2019), 『성남시 아르바이트생 인권침해 실태조사 연구』, 성남시 고용노동과.

김종진(2019), 「 ILO 100주년 기념 보고서 의미와 노동정책 방향 모색」, 『ILO 100주년, 한국 노동정책의 과제와 새로운 방향 모색』, 한국노동사회연구소·프리드리히 에버트재단.

김종진(2019), 「더 나은 미래의 노동정책 모색 위한 검토」,  『기로에 선 노동, 사회정책의 방향을 묻다』, 2019 한국사회정책학회 춘계 학술대회.

김종진(2019), 「 지역사회 노동자 권익 중간지원조직 역할과 과제 모색 : 지자체 노동권익센터와 비정규직지원센터 사례」, 『지역사회 노동자 권익 중간지원 조직의 역할과 과제: 노동권익센터와 비정규직지원센터 사례 』, 141차 노동포럼, 프리드리히에버트제단·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2019), 「경기지역 정신건강복지센터 민간위탁 운영과 노동문제 검토」, 『경기도 지역 정신보건 시스템 강화를 위한 토론회』, 경기도·경기도의회·경기도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민주노총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경기지역본부.

김종진(2019), 「청년의 사회진입 과정에서 필요한 청년정책 논의와 검토」, 『청년 불평등과 청년수당, 청년출발지원 정책의 필요성』, 서울시, 더불어민주당 전국청년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서울특별시당 청년위원회.

キム ジョンジン氏(2019),「韓国の地方自治体の労働改革の内容とその評価」, 『日韓「働き方改革」フォーラム』, 日韓「働き方改革」フォーラム実行委員会,韓国労働研究院,科学研究費助成事業 基盤研究.

김종진(2019), 「공공부문 고객지원 콜센터 운영 및 고용의 질 개선 방향 논의 검토」, 『광역시도·지자체 콜센터 노동자 고용안정 및 처우개선 토론회』, 희망연대노조·경기도비정규직지원센터.

김종진 외(2019), 『서울시 공공부문 감정노동 평가제도 연구』, 서울시감정노동센터.

김종진(2019), 「디지털 플랫폼노동 논의와 쟁점, 도시 정부의 과제」,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일』, 2019 서울시 좋은 일자리도시 국제포럼, 서울시·국제노동기구(ILO) 아태사무소.

김종진 외(2019), 『성남시 청년배당 효과성 분석』, 성남시

김종진 외(2020), 『부산시 노동정책 기본계획 수립 연구』, 부산시청 인권노동정책담당관.

김종진 외(2020), 『서울시 민간위탁 노동실태 연구』, 서울시 노동정책담당관.

김종진 외(2020), 『서울지역 자치구 시설관리공단 노동실태 연구』, 서울시 노동정책담당관.

김종진 외(2020), 『서울시 2기 노동정책 기본계획 수립 연구』, 서울노동권익센터.

김종진 외(2020), 『새로운 노무제공 형태 실태조사』, 고용노동부.

김종진 외(2020), 『인천시 노동정책 기본계획 수립 연구』, 인천광역시 노동인권과.

김종진(2020), 「디지털 플랫폼 노동 확산과 위험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 《경제와 사회》, 제125호, 비판사회학회, 296쪽-322쪽.

김종진 외(2020), 『미래의 노동: 제도와 노동의 대응 전략』, 서울연구원

김종진 외(2020), 『성남시 노동통계 및 노동 사각지대 실태조사 연구』, 성남시 고용노동과.

김종진 외(2020), 『기업의 비정규직 활용실태 및 고용구조 개선 방안 연구』, 고용노동부.

김종진 외(2020), 『코로나19 시대 ‘긱 노동’ 피해 실태분석』, 한국노동연구원.

김종진(2020), 「코로나19 시대 고용안전망 강화 방안 모색」,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한 토론회』,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1〜27쪽.

김종진 외(2020), 『서울시 노동자 참여플랫폼 구축방안 연구』, 서울노동권익센터.

김종진(2020), 「코로나19 노동생활 세계 영향과 포스트 코로나 과제 모색」, 《THE HRD REVIEW》, 23권 3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76〜98쪽.

김종진(2020), 「일하는 시민을 위한 성남시 조례 제정과 정책방향」, 『노동에서의 새로운 일상과 지방정부의 역할』, 국회 김태년·송옥주·김병욱·윤영찬 의원실·성남시청, 19∼50쪽.

김종진(2020), 「지방정부 노동정책 제도화 현황과 특징」,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지역 사회적 대화 연구회> 6차 세미나, 1〜24쪽.

김종진(2020), 「플랫폼노동 논의와 정책 방향 검토 및 시사점」, 『50+의 디지털플랫폼 일자리 활용방안』, 《50더하기포럼》,서 울시 50플러스재단, 1〜24쪽.

김종진(2020), 「코로나19 시대 전 국민 실업부조와 고용보험 방안 모색」, 경기도의회 의원 포럼, 1〜27쪽.

김종진·박관성(2020), 『전국 청년정책 제도화 현황과 실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이은주 의원실.

김종진(2020), 『디지털 플랫폼노동의 확산과 정책과제 : 새로운 규칙 설정과 국내외 실태 』,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이수진 의원실.

김종진(2020), 「고용다변화 시대, 새로운 노동형태와 조직화 문제」,『고용다변화와 새로운 노동의 출연』, 제147차 노동포럼, 한국노동사회연구소·프리드리히 에버트재단.

김종진(2020),「지방정부 노동정책 새로운 실험 그 의미와 성과: 서울시 사례」, 『서울시 노동정책의 향후 과제와 전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이병도 의원실.

김종진(2020), 「유급병가·상병수당 제도화 과제와 노사관계 현황 검토」, 『 유급병가 어떻게 제도화할 것인가? : 코로나19 시기 사회안전망 구축 과제』, 제149차 노동포럼, 한국노동사회연구소·프리드리히 에버트재단.

김종진(2020), 「노동시장의 공정성 논의 비판 검토」, 『공정채용정책 현장실태 조사 및 정책이슈 분석』, 노동법연구소 해밀·고용노동부.

김종진(2020),「코로나19 시기 노동정책과, 노동권익센터 과제 모색」, 강동구 2020 노동권익포럼, 강동구청 노동권익센터.

김종진 외(2020), 『프리랜서 노무형태 파악 위한 실태조사 연구』, 사단법인 유니온센터·고용노동부 고용보험 사각지대 해소기획단.

김종진(2020), 「일하는 서울시민 참여 플랫폼 도입 논의」, 『서울시 일하는 시민 참여 플랫폼 연구』, 서울노동권익센터.

김종진 외(2021), 『민간부문 감정노동 평가제도 연구』, 서울감정노동센터.

김종진(2021), 「지방정부 노동안전보건 기본계획 의미와 과제- 서울시 사례」, 서울시 노동안전보건위원회.

김종진(2021), 「청년 고용보험 사각지대 해소 방향 검토- 자발적 이직퇴직자 실업급여 적용 방안」, 경제사회노동위원회 계층별위원회 청년위원회.

김종진(2021), 「서울시 노동자 지원 중간지원 조직의 개선방안 모색」, 『서울특별시 노동자 지원기관 발전에 관한 토론회』, 서울시의회 이병도 의원실.

김종진(2021), 「방송산업 비정규직, 프리랜서 활용 문제점과 개선방향」, 『방송작가도 노동자다』, 방송작가유니온·언론노조.

김종진(2021), 「IT·게임산업 노동실태 및 노사관계 개선 과제」, 『IT게임산업 노동실태, 그리고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정의당 류호정 의원실.

김종진(2021), 「코로나19의 교훈과 경험, 백신휴가 도입 필요성과 서울시 정책과제」, 『작은사업장·취약계층 백신휴가 지원과 서울시 유급병가제도 확대를 위한 노사정 토론회』, 서울시의회 권수정 의원실.

김종진(2021), 「최저임금제도의 사회연대정책 의미와 필요성 - 최저임금은 어떤 임금인가? 사회적 기준으로서의 임금」, 『『사회연대전략을 통한 최저임금 운동의 새로운 방향 모색』, 6411사회연대포럼, 노회찬재단.

김종진(2021), 「기후환경 위기와 노동의 대응, 정의로운 전환 - 노동시장 주요 법률과 정책방향을 중심으로」, 『정의로운 전환 법 마련을 위한 국회 간담회』, 정의당 기후에너지정의특별위원회, 류호정 의원실.

김종진(2021), 「더 나은 내일을 위한 ‘미래의 노동’ 방향 모색」, 《성찰과 전망》, 제33호,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 부설 민주주의사회연구소, 36∼51쪽.

김종진(2021), 「디지털 플랫폼노동 실태와 특징Ⅰ: 온라인 마이크로 워크 노동 상황」, 《이슈페이퍼 2021-3》,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 외(2021), 「디지털 플랫폼노동 실태와 특징Ⅱ: 웹기반, 지역기반 규모와 실태」, 《이슈페이퍼 2021-5》,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 외(2021), 「감정노동 제도화 현황과 개선과제 검토」, 《이슈페이퍼 2021-11》,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2021), 「더 나은 내일을 위한 미래의 노동정책 방향 모색」, 《성찰과 전망》, 제33호, 사단법인 민주주의사회연구소.

김종진(2021), 「디지털화와 일의 미래」, 『디지털화, 기후위기, 일의 미래』, 우분투재단.

김종진 외(2021), 「프리랜서 노동실태와 특징Ⅰ :규모 추정, 노동상황」, 《이슈페이퍼 2021-13》,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 외(2021), 「프리랜서 노동실태와 특징Ⅱ: 일의 형태와 불안정성」, 《이슈페이퍼 2021-14》,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2021), 「유통산업 노동환경 및 노동시장 변화 대응 과제 모색」, 일자리위원회 유통산업TF.

김종진(2021), 「취약층 직업능력 향상과 교육훈련 실태: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의 불안정성」, 《이슈페이퍼 2021-15》,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 외(2021), 『플랫폼노동자 고용보험 적용방안 실태조사』, 유니온센터·한국노동연구원.

김종진 외(2021), 『화섬 산별노조 전환 전략 의제 수립 연구』, 화섬식품노조.

김종진(2021), 「기후환경 위기와 노동시장의 대응, 정의로운 전환: 노동시장의 제도적 실천적 과제 모색」, 『정의로운 전환에 대한 인식과 노동시장 정책방향』, 2021 정의로운전환연속포럼 제3차, 정의로운전환연구단·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김종진 외(2021), 『의료기관 노동시간 단축 모델과 추진 로드맵 연구: 주32시간제 단축 방향 』, 유니온센터·보건의료노조.

김종진 외(2021), 『IT기업 변동과 노동환경 연구』, 화섬노조 IT노조위원회.

김종진 외(2021), 『성남시 노동통계 및 노동사각지대 실태조사』, 유니온센터·성남시 고용노동과.

김종진(2021), 「기후위기와 노동의 정의로운 전환 - 지속가능한 규칙과 노동시장 상황」, 《KLSI 이슈페이퍼》, 제158호,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2021), 「주 4일제와 다양한 노동시간 단축 모델 - 시간의 정치를 향한 실험들」, 《KLSI 이슈페이퍼》, 제160호,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2021), 「2022년 일하는 시민을 위한 서울시 노동정책 방향: 서울 시민·노동자 1천 명 인식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서울시 노동정책 평가 토론회』, 민주노총 서울본부·너머서울 정책팀.

김종진(2022), 「타투이스트 노동실태와 특징 - 일의 제도화와 노동안정성 과제, 《KLSI 이슈페이퍼 2022-01》, 제162호,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2022), 「텔레워크 확산 가능성과 과제:  일하는 방식 변화와 제도의 필요성」, 《KLSI이슈페이퍼》, 제163호,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2022), 「외국 산별노조 재활성화 현황과 시사점: 노동환경 변화 대응과 조직 과제」, 《KLSI이슈페이퍼》, 제164호,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2022),  「일용직 노동실태와 특징: 일자리 취약성과 노동 사각지대」, 《KLSI이슈페이퍼》, 제165호,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2022), 「플랫폼노동 실태와 특징Ⅲ : 계약의 불균등성과 권리 부재」, 《KLSI 이슈페이퍼 2022-06》, 제167호,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 외(2022), 「작은 사업장 노동실태와 특징: 노동취약성과 제도의 사각지대」, 《KLSI 이슈페이퍼 2022-07》, 제168호,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2022), 「윤석열 정부 시기 지방정부 노동정책 방향 모색」, 『윤석열 정부 시기 노동정책 전망과 대응 방향 모색 』, 한국노동사회연구소·에버트재단.


이메일 : chaplin@catholic.ac.kr
Blog 연결